Page 4 - KAIST GSIS 2023 Vol.09
P. 4
학과소식 4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김용대 교수 연구팀,
도심에서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는안티드론 기술 개발
최근 각국 정부들은 공항 및 국가적 중요 시설에서 무인 항공기에 의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드론을 추락
시키거나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안티드론 기술은 드론의 보안 취약점을 활용하여 구현이 가능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은 안티드론 기술의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례가 되었다.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김용대 교수님 연구팀은 도심에서 활용 가능한 협대역 전자기파를 원격으로 드론의 회로에 주입하여, 드론을 즉시 무력화하
는 안티드론 기술을 개발했다. 김용대 교수 연구팀은 드론 제조사의 제어 유닛 보드가 전자파 주입에 따른 민감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제조사별로 수집된 민감도를 극대화한 주파수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매우 좁은 대역의 협대역 전자기파를 주입하더라도 원격에서 드
론을 즉각적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음이 입증했다. 이번 기술의 특징은 특정 주파수로 좁은 대역의 전자파를 주입할 경우, 기존의 안티드론 기술과
는 달리, 주변 전자 장치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으로, 도심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안티드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번에 개발
한 기술은 동일한 제어 유닛 보드를 사용하는 드론들이 집단 드론 공격을 시도할 때, 이들 드론을 동시에 추락시킬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즉,
A 모델을 사용하는 100대의 적 드론과 B 모델을 사용하는 100대의 아군 드론이 동시에 비행하고 있을 때, 아군 드론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100대의 적 드론을 모두 무력화시킬 수 있다. 김용대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그 우수성을 입증 받아, 정보보안분야 최우수 국제 학술대회 중 하
나인 NDSS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2023에 채택되었다. (논문명 : Paralyzing Drones via EMI Signal Injection
on Sensory Communication Channels)
그림 3 ▶ 안티드론 기술 시연 모습 그림 4 ▶ 드론 무력화 기술의 원리
관련 뉴스보도 링크
❶ 보안 최우수 학회 NDSS 논문 발표: 장준하, 조만기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NDSS 학회에 전자파를 이용한 안티 드론 기술이 채택되었고
이 내용이 SBS 8시 뉴스에 보도 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6OfVX04uCU&t=45s&ab_channel=SBS%EB%89%B4%EC%8A%A4
❷ 안티드론 관련 SBS “그것이알고싶다”: 영공 침범 – 우리는 왜 북한 무인기를 막을 수 없었나 (10분 45초 – 14분 15초):
https://www.youtube.com/watch?v=A97hxxcC6_I&t=647s&ab_channel=%EA%B7%B8%EA%B2%83%EC%9D%B4%EC%95%8C%EA%B3%
A0%EC%8B%B6%EB%8B%A4
❸ 안티드론 관련 SBS “비디오머그”: 전쟁 승패를 좌우할 드론 킬러들, 어디까지 와 있을까? / 게임체인저 / 비디오머그:
https://www.youtube.com/watch?v=HHtP-GovymE&ab_channel=%EB%B9%84%EB%94%94%EC%98%A4%EB%A8%B8%EA%B7%B8-
VIDEOMUG
04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