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KAIST GSIS 2023 Vol.09
P. 6
Q NYU측 교수님들과 각 기관의 연구 분야에 대한 토론을 나누었을 때 어떤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으셨나요?
A : 이번 행사에서 NYU 교수님들과 software security, system security, privacy-preserving computation, robotics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제가 느낀 것은 한국과 미국이 연구 과제 펀딩 부분에 있어서 매우 다르다는 것이었습니
다. 한국에서는 core system의 보안에 대한 연구, 예를 들어 software security 나 operating system security 등을 연구 주제로
정하고 연구해도 충분히 펀딩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워크숍을 통해 미국에서는 실제 application 보안 연구를 하지 않으
면 펀딩을 전혀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국가 기관에서 제안하는 과제들의 주제도 한국보다 훨씬 더 application-
driven 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보안 연구 중 하나가 공급망 보안인데, 현재 5G 인프라를 구성하는
장비 중에서 취약한 장비나 허가받지 않은 장비 (중국산 장비 등) 등이 있는지 식별하기 위한 연구가 국가 주도 연구 과제의 주제
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과제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분야 연구실의 많은 연구자가 함께 모
여서 과제를 진행합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이렇게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주제보다는 공급망 보안의 전반적인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연구 과제들이 나옵니다. 두 방향 모두 장/단점이 존재하며 어떤 것이 더 나은 것이라고 쉽게 말할 순 없습니다. 다만 사회
가 당면한 구체적인 보안 이슈를 해결하는 application-driven 관점의 연구 방식에 대해 카이스트를 포함한 한국의 연구자들 더
많이 고민하게 된다면 지금 보다 더욱 실용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Q 카이스트 정보보호대학원과 NYU 사이의 이러한 행사가 어떤 식으로 두 기관의 미래의 연구에 영향을
끼질 것으로 보시나요?
A : 이번 워크숍을 통해서 카이스트와 NYU에는 협력 연구 센터와 joint 캠퍼스가 설립됩니다. 이로 인한 장점으로는 공동 연구를 위한
물리적인 공간이 생기는 것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 과제의 펀딩입니다. 미국의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주
관 과제의 경우 공동 연구라도 외국 대학은 일절 지원받을 수 없지만, DARPA나 다른 산업부 과제는 외국 대학을 지원할 수 있습
니다. 또한 최근 DARPA 과제의 RFP를 살펴보면 5G 보안, 드론 보안, 자율 주행 보안 등 한국에서 진행하는 보안 연구와 관련된 것
들이 매우 많습니다. 이것은 미국이 카이스트 등 한국의 연구기관에서 진행되는 보안 연구에 관심이 많은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가 그만큼 세계적인 보안 연구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NYU와의 협력 연구 센터와 joint 캠퍼스가 설립된다면
이러한 미국의 연구 과제를 카이스트가 NYU와 협력하여 진행하기 더욱 수월해질 것입니다. 이를 통해 카이스트가 많은 해외 연
구 펀딩을 받아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워크숍 이후에도 공동연구를 위한 많은 행사가 기획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
로 내년 1월에는 NYU 아부다비 캠퍼스에서 사이버 보안 분야 연구를 위한 워크숍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Q 이번 교류 행사를 통해 정보보호대학원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 :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먼저 NYU의 joint 캠퍼스로 공동 연구를 하러 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학부생의 경우 당
장 다음 학기부터 NYU로 교환학생으로 갈 수 있습니다. 아직은 기숙사 제공 등의 이슈로 소수의 인원만 선발해서 보내지만, joint
캠퍼스가 증설된다면 더욱 많은 인원이 교환학생으로 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카이스트-NYU의 공동 학위 과정도 준
비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에 입학한 뒤 소정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면 양쪽 학교에서 모두 졸업장과 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대학원생의 경우 원할 경우 NYU 캠퍼스로 장기간 공동 연구를 하러 갈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NYU에서 주최하는 일종의 CTF 겸 논문 공모전인 Cybersecurity Games and Conference (CSAW)에도 카이스트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NYU 측에서 CSAW의 ASIA 지부를 카이스트에서 담당해 줬으면 좋겠다는 제안을 주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NYU와의 협업 진행이 완료되면 카이스트 정보보호대학원 학생들이 미국과의 다양한 공동 연구 및 행사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06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