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KAIST GSIS 2022 Vol.07
P. 6
졸업생 인터뷰
삼성 SDS
김성광 박사
Q 안녕하세요 연구원님, 회에 필요한 기술을 연구하고 싶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업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공부한 뒤에 연구하게 된다면 좋
A : 안녕하세요, 저는 이주영 교수님 연구실에서 올해 박사과정 을 것 같아서 삼성 SDS 연구소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삼성
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논문: 동형암호를 위한 비밀키 암호) 현 SDS 연구소를 선택한 이유는 요즘은 보안상의 이유로 암호
재 삼성 SDS에서 비밀키 안전성 증명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기술이 들어가지 않는 IT 제품은 거의 없지만, 암호 기술 자
김성광입니다. 체를 연구하는 회사나 연구소는 극히 드뭅니다. 이 중에서
제가 생각했을 때 가장 선두 주자에 있는 기업이 삼성 SDS
Q 지금 다니고 계신 직장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이기 때문에 이 기업을 선택했습니다. 지금은 근무한 지 3달
밖에 안 되어서 근무조건에 만족한다고 말하는 것이 좀 이른
(하는 일, 지원 동기 등)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지금까지 느낀 바로는 매우 만족하면
A : 저는 현재 서울시 서초구 삼성 SDS 연구소의 보안 알고리
서 다니고 있습니다.
즘 랩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은 일단 연구
소이다 보니 사업부와는 그 분위기나 근무 환경이 조금 다릅
니다. 연구 프로젝트에도 마감일 (deadline)이 존재하지만,
Q 작성하신 논문이 이번에 저명한 암호학 학회
사업부 프로젝트의 마감일처럼 급박한 일정으로 진행되지
(Eurocrypt 2022)에 채택이 되었는데, 해당
는 않습니다. 보안 알고리즘 랩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논문 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이 저는 여기서 응용 암호 분야의 선행기술 연구를 수행하
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동형암호를 이용한 안전한 개인 A : 제가 작성한 논문은 “Rubato: Noisy Ciphers for Approxi-
mate Homomorphic Encryption”로 동형암호를 이용한
정보 보호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최근
개인정보 보호 기술에 대한 연구입니다. 이 논문의 경우 배
양자 컴퓨팅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화두가 되는 양자 내성
경 지식이 많이 필요한데요, 제가 차근차근 최대한 쉽게 설
암호 기술에 대해서도 연구 중입니다. 연구소에서 우리 연구
명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떤 숫자 등의 데이터를 암
원들이 연구한 선행 기술 중 일부가 사업부로 넘어가서 제품
호화하게 되면 데이터가 가지고 있던 수학적인 특징이 변하
에 반영됩니다.
게 되어 해당 데이터를 통계자료 등에 사용하기가 어 렵게
졸업이 임박했을 때 학교를 졸업한 뒤에 무엇을 할지 진로에
됩니다. 여기서 동형암호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요, 동형암
대해 많이 생각했습니다. 연구가 재미있었기 때문에 연구직
호는 암호화된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수학/통계적인 특징이
으로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는데, 저는 정부출연연구소
유지되는 암호입니다. 즉 암호화된 상태에서 원본 데이터를
보다는 산업계와 좀 더 가까운 기업의 부설 연구소에 취업하 공개하지 않고 통계적인 계산이 가능한 암호로 개인정보 보
고 싶었습니다. 연구를 하다 보면 내가 연구하고 있는 이 기 호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신 동형암호가
술이 왜 필요하고 왜 중요한 기술인지, 기술의 당위성을 설명 기존 비밀키 암호보다 무조건 더 좋은 것은 아 니고 속도 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논문을 쓰면서 내가 하는 이 연 에서는 기존 비밀키 암호가 동형암호보다 훨 씬 유리합니
구가 정말 실용적인가? 이런 질문을 스스로 자주 던지게 되 다. 동형암호는 데이터의 수학적 특징을 보호 하면서 암호
었습니다. 단순히 이전 연구가 여기까지만 진행되었기 때문 화하다 보니, 암호화의 속도도 느려지고 암호 문의 크기가
에 내가 이것을 마무리한다는 이런 이유가 아니라, 정말 사 평문에 비해 굉장히 커집니다. 그 때문에 요즘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