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KAIST GSIS 2022 Vol.07
P. 9
KAIST GSIS Newsletter 2022 Summer Vol.07 https: / /gsis.kaist.ac.kr
해당 프로젝트의 연구 주제는 거창하게 출발했다기보다는 잡았던 것은 평소에는 생각해본 적도 없는 신선한 경험이었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문제를 머신 러닝 기술을 접목해 고, 이 경험을 통해 연구란 것은 이렇게 하는 거구나, 프로그
서 해결해보자는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습니다. 머신 램은 이렇게 작성해야 하는 것이구나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러닝 기술은 일반적으로 패턴화된 문제를 상당히 잘 다루는 있었고, 교수님의 실력에 다시 한번 감탄할 수 있었습니다.
기술이기 때문에, 먼저 기존 랭킹 시스템을 계속 보면서 문
제점을 찾아내고 이들의 공통적인 패턴을 찾는 데 집중했습 또 다른 일화는 논문에 대한 기록물을 제출하는 과정에서 있
니다. 허기홍 교수님께서 항상 말씀하시는 것처럼 사람이 못 었습니다. 제가 작성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기록
하면 기계도 못한다는 것을 항상 생각하면서 문제를 분석하 물을 준비했지만, 다른 기관의 연구자가 구현했던 모듈은 정
고 정형화된 해결 방법을 모색했습니다. 매우 시간이 오래 상적으로 동작하지도 않았고 이에 대한 기록물도 전혀 없었
걸리고 또 더디게 진행되는 작업이어서 처음엔 힘들었지만, 습니다. 아무런 문서도 없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의 버
약 한 달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랭킹 시스템의 고질적인 그를 수정하고 재현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프로그램
문제점과 패턴화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 에 사용한 함수나 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 또는 프로그램의
는 찾은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것을 테스트 입/출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만이라도 문서화가 되었다
한 뒤 논문을 작성하는 일반적인 수순을 밟았습니다. 저는 논 면 작업이 훨씬 쉬웠을 텐데 눈앞이 깜깜했습니다. 이때 몸
문이 한 번 작성되고 끝나는 줄 알고 있었는데, 한 번에 붙는 소 프로그램의 문서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또 연구 기록물의
경우보다 학회에서 여러 번 떨어지는 것이 부지기수이며 학 관리가 해당 연구를 활용하려는 다른 연구자에게 얼마나 도
회의 리뷰를 바탕으로 논문의 퀄리티를 점진적으로 향상해 움이 되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리뷰를 바탕으로 여러 번의 수
정과 추가 실험을 통해 마침내 올해 ICSE 2022에 논문을 붙 Q 앞으로의 포부는 무엇인가요?
일 수 있었습니다.
A : 대학원에 와서 연구라는 것을 처음 제대로 접해봤을 뿐 아직
연구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 다만 저는 이론적인
Q 이처럼 완성도 높은 시스템을 연구하는 것은 쉽 연구보다는 이번에 했던 연구처럼 제가 연구한 내용이 곧바
지 않았을 텐데 연구를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 로 산업계에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이 있나요? 실용적인 연구를 하려면 연구 능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실제 산업계에서 어떤 것이 중요한 문제인지 정확하게 식별
A : 처음 대학원에 들어와서 했던 연구인 만큼, 연구에 대해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선은 석사를 졸업
잘 몰랐던 점과 연구와 학업의 적절한 시간 분배가 가장 어
하고 평소 관심 있던 회사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취직하여
려웠습니다. 특히 시험 기간이라도 겹쳐버리면 정말 도중에
산업계에서 실제 쓰이는 기술들, 또 그러한 기술들의 문제점
포기해버리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기억에 남는 일
들을 제 눈으로 보고 직접 경험하면서 실전 경험을 쌓고 싶
화는 학교 시험 기간에 연구 논문의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었
습니다. 풍부한 경험을 갖춘 뒤 다시 학계로 돌아와서 허기홍
는데, 이때 구현하던 시스템이 어렵기도 했고 시험 공부도 틈
교수님처럼 실용적인 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틈이 하면서 하니까 진도가 잘 나가지 않았습니다. 한 1~2주
정도 진행이 안 되는 상황에서 교수님께서도 답답하셨는지
서둘러서 마무리하라고 계속 말씀하셨습니다. 급한 마음에
일단 밤을 새우며 실험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했습니다. 프
로그램이 완성되고 너무 졸린 나머지 실행만 시키고 그대로
잠이 들었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프로그램에 버그가 있어
실험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종료되어 버린 절망적인 상황
이 벌어져 있었습니다. 크게 혼날 것을 각오하고 이 일을 교
수님께 말씀드리자 교수님께서는 혼내시기보다는 같이 해
결해보자고 오피스로 나오라고 하셨습니다. 주말 내내 교수
님 오피스에서 교수님이랑 같이 코딩하고 실험하며 오류를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