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KAIST GSIS 2023 Vol.10
P. 11

졸업생 인터뷰






                                                                    되었는데, 아무리 Low level 한 보안 기반 시설이 잘 갖춰
                                                                    져 있다고 해도 많은 시스템에서 User Interface로 활용
                                                                    되고 있는 웹에 취약점이 있으면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
                                                                    생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때부터 웹 구성요소를 분석
                                                                    하고 이들에 숨겨진 보안 취약점을 찾는 것에 관심을 두게
                                                                    되어, 박사 과정부터는 손수엘 교수님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KAIST 정보보호대학원 재학 시절 가장 기억에
                                                                Q
                                                                    남는 경험이나 에피소드가 있나요?

                UNIST 컴퓨터공학부                                    A : 네, 많은 추억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두 가지 경험이 특히
                                                                    기억에 남습니다. 첫째는 석사 과정 때 참여했던 정보보
                      위성일 교수님                                       호대학원 체육대회입니다. 대학원 내 모든 교수님과 학생

                                                                    들이 함께 농구, 축구 등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
                                                                    다. 승리팀에게 주어지는 푸짐한 경품도 재미있는 요소였
                                                                    지만,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모두가 연구와 학업의 스트
            Q    안녕하세요 위성일 교수님,                                     레스에서 벗어나 함께 땀 흘리며 웃을 수 있었다는 점입니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다. 둘째는 워크숍에서의 경험입니다. 무주에서 열린 워크
                                                                    샵은 연구실 구성원들과 교수님들이 모두 모여 진행된 행
            A : 안녕하세요, 저는 KAIST 정보보호대학원에서 석사(차상                     사였습니다. 특히 학생들이 한 명씩 교수님들에게 직접 질
                 길 교수님 연구실)와 박사 학위(손수엘 교수님 연구실)를                    문하는 세션에서, 연구에 있어 겪고 있는 어려움, 힘든 점,
                 마치고 올해 8월에 UNIST 컴퓨터공학부 조교수로 부임한                   진로에 대한 고민 등을 허심탄회하게 나누며 소통할 수 있
                 위성일입니다. 저는 현재 웹 보안 연구실(WebSec Lab,                 었습니다. 총 40명이 참여한 이 세션에서 교수님들은 학생
                 https://websec-lab.github.io/)을  운영하고  있으며,  웹     들의 질문에 하나하나 세심하고 진심 어린 답변을 해주셨
                 컴포넌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자동으로 분석하                      습니다. 이때 받은 조언 중, 연구가 단순한 일이 아니라 삶
                 고 탐지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말씀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처음에는 연구와 일상이 어떻게 하나가 될 수 있는지 회의
                                                                    적이었지만, 점차 연구가 제 삶의 일부분이 되어가는 과정
                 소프트웨어 및 웹 보안 연구를 주로 하시는데,                          을 경험하며 이 말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Q
                 이 분야를 선택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이 두 경험은 제 대학원 생활에 있어서 무척 중요한 자산
                                                                    이 되었고, 연구자로서뿐만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 성장하
            A : 학부 시절부터 보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보보안 동                      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아리 활동을 통해 쌓았고, 대학원 진학 전부터 사람의 실
                 수로 인해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취약점이나 이로 인한 위                     물론 힘들었던 경험도 있습니다. 박사과정 2년 차에 접어
                 협을 분석하고 방어하는 데 관심이 많았습니다. 프로그래                     들었을 때, 제가 맡고 있던 연구 프로젝트가 예상대로 진
                 밍과 정보보안에 대해 더 깊게 공부하고 싶어서 대학원 석                    행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어요. 연구에 대한 해결책이 잘
                 사 과정 동안 차상길 교수님 연구실에서 퍼징과 같은 소프                    떠오르지 않아 교수님도 걱정이 많으셨고, 저 또한 상당히
                 트웨어 취약점 자동 분석 연구에 몰두했습니다. 석사 과정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특히 웹 페이지 파일 업로드
                 을 마무리할 때쯤에 손수엘 교수님의 웹 보안 수업을 듣게                    취약점에 관해 연구하고 있었는데, 논문이 학회에서 연속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11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