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의 다른 대학원들과 마찬가지로 정보보호대학원 또한 공인 어학성적이 필요합니다.
IBT TOEFL 83 / PBT TOEFL 560 / CBT TOEFL 220 / TOEIC 720 / TEPS 599 / New TEPS 326 / IELTS 6.5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단,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에 소재한 대학(원)에서 수학하여 학위(학사, 석사, 박사 중 어느하나)를 취득했거나 취득예정인 지원자는 영어성적 제출을 면제합니다. 또한 대학원과정 입시에서 영어성적을 제출하여 한번 인정받은 KAIST 대학원과정 재학생(서류제출 마감일 기준 재학생)은 이후 입학전형에서 영어성적 제출을 면제합니다.
(KAIST 대학원 졸업생은 학업의 연속성이 결여되므로 영어성적 제출을 면제하지 않음)
학부 때 컴퓨터, 전산, 정보보호 전공을 하는 것이 좋기는 하나 다른 전공을 하셨더라도 정보보호 분야에 대한 열정이 있으신 분이면 지원 가능합니다. 연구를 꾸준히 하기 위한 성실성을 가장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에, 현재 하고 계신 학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보안관련 경진대회나 자격증은 입학에 참고 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는 하나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각종 서류에 대해서는 KAIST대학원입학팀 홈페이지를 참조하길 바랍니다.
입시는 1차 서류심사, 2차 면접 두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보통 1차 서류심사 발표 후 10일 이내에 2차 면접이 이루어지며, 2차 면접은 기술 및 인성 면접이 동시에 치러집니다.
현재 정보보호대학원 국비TO는 1년에 석사10명, 박사5명이며 CSP-KAIST석사 12명입니다. 그 외 KAIST장학생, 일반장학생 또한 지원가능합니다. KAIST장학생, 일반장학생 지원자는 우수한 학생일 경우 전원 선발하려는 기본 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학기 경쟁률이 다르지만 약 3:1 이상의 경쟁률을 보이며, 향후 더 높은 경쟁률의 양상을 띄울 것이라 예측합니다.
아닙니다. 정보보호대학원에 응시하는 것은 전산과 관련이 없는 다른 학과의 졸업생이라 하더라도 적절한 소양을 쌓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모두 가능합니다. 각자 전공의 장점을 살리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면접 시간 총 10분
ㆍ(1분) 자기소개 및 전공 소개
ㆍ(3분) 전공 심화 질문 및 답변
ㆍ(4분) 기초 선택 질문 및 답변 (시스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암호,기타 중 택 1)
ㆍ(2분) 기타 추가 질문
*전공 소개 및 심화 질문 ㆍ본인이 보안 분야에서 깊이 있게 연구하였던 부분에 대하여 소개 (예: 프로젝트, 본인 논문, etc.)
ㆍ이 연구에 대하여 심사위원들과 질의 응답 예정
*기초 선택 질문 분야: 보안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지식에 대한 질문. 아래 분야 (시스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암호,기타) 중 택 1
ㆍ시스템: 운영체제 및 시스템 전반 (System Call, System Mode, Address Space, Isolation),
시스템 기반 메모리 방어 및 공격 탐지 기법 (BoF, UAF, Heap Exploits 방어), 스택 방어(Canary, ROP Defenses),
Access Control (Capability tokens), Side/Covert Channel 등
ㆍ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론, 컴파일러 이론, 프로그램 분석 (정적 동적 분석),
소프트웨어 해킹 (Buffer Overflow, Integer Overflow, ROP, Use-after-free) 등
ㆍ네트워크: TCP/IP 개론, 응용 레벨 네트워크 프로토콜 (HTTP, HTTPS, DNS 관련 등등),
기본적인 네트워크 공격 방어 (DDoS, Network Scan, Network Intrusion Detection) 등
ㆍ암호: 비밀키 암호(Block Cipher, Stream Cipher, Hash Function, MAC), 공개키 암호(Public Key Encryption, Digital Signature),
암호 프로토콜(Key Agreement, PKI), 암호 관련 수학(정수론, 대수학, 확률론) 등
ㆍ기타: 블록체인, 자율주행, 드론, 이동통신,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등
KAIST 정보보호대학원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무능력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업에 대한 정보는 교과목 소개 페이지 (https://gsis.kaist.ac.kr/education/course)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박사과정의 경우 입학 전에 원하는 지도 교수님과 연락하여 지도 교수님을 결정합니다. 석사과정의 경우 입학 전 대학원에서 개최하는 각 교수님의 연구실소개 시간을 갖은 후 여러 교수님들의 충분한 교류하고 원하는 교수님과 컨택 후 최종 지도교수님을 결정합니다.
학생구분 1선택 2선택 중 국비또는KAIST, CSP-KAIST 중 본인이 가장 원하는 학생구분을 1선택으로 지정합니다.
이 후 나머지 학생구분을 2선택에 지정합니다.
반드시 2선택까지 지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나 2선택까지 지정해야 1선택으로 합격되지 않아도 2선택으로 합격될수 있어 합격률이 높아집니다.
현재 직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응시자는 국비 또는 KAIST, CSP-KAIST로 응시하면 됩니다. 현재 직장을 가지고 있으나 입학 전 직장을 그만두고 전일제로(full-time) 학업을 할 계획이라도 국비또는KAIST, CSP-KAIST로 지원합니다. 현재 직장을 가지고 있고 입학 후에도 직장생활과 병행할 응시자는 일반장학생으로 응시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국비학생, KAIST장학생, CSP학생은 반드시 full-time이여야 하고 타 직장에 근무해서는 안됩니다. 그 이유는 재학 중에 누리는 각종 혜택들(장학금, 조교수당, 연구비 등)은 모두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되기 때문입니다.
1년에 두번의 입시가 있습니다. KAIST 타 학과와 마찬가지로 1년에 봄학기(1차), 가을학기로 나누어 2회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봄학기입시는 차년도 3월 입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7월 초에 원서접수가 시작되어 9월 중에 최종 합격자가 발표됩니다.
반면, 가을학기 입시는 같은 해 9월 입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데 4월 초에 원서접수가 시작되어 6월 중에 최종 합격자가 발표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봄학기 입시는 매우 빨리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봄학기 입시를 준비하시는 분은 이 점을 고려하셔서 미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정보보호대학원은 신입생 석박통합과정은 선발 계획이 없으며 재학생 석박통합과정은 모집하고있습니다.
학생들은 자유롭게 연구과제를 담당하시는 교수님과의 컨택을 통해 참여율을 정해서 연구과제에 참여하고 인건비를 지급 받게 됩니다. 참고로 한 학생당 참여율이 100%가 넘지 않아야 합니다.